카테고리 없음

[바다의 날] 바다 알아봤어요

미스트리스트 2020. 5. 3. 15:32

>


제10기 블로그 기자단 전인형


점점 따뜻해질수록 바다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해변과 바다, 상상만 해도 갈매기 소리가 들리네요! 혹시 '바다의 날'이 있다는 것,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매년 5월 31일은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날을 기념하여 바다 관련 산업의 중요성과 의의를 높이고 바다 관련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노고를 위로할 목적으로 제정한 바다의 날입니다.바다의 날에는 항만과 바다 청소, 국민의 계몽, 수산자원 보호 등과 관련한 행사가 주최됩니다.   많은 분들을 위로하는 날도 있고 평화로울 수 있는 바다, 과연 늘 잔잔한가요?


쓰나미란?


>


자연 재해 중에서도 특히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지진입니다. 지진이 바다에서 발생하여 거대한 파도가 생성되는 경우를 지진해일(tsunami)이라고 합니다. 쓰나미라는 말은 쓰나미라고 불리는 일본어에서 유래했고, 'tsu'는 '항구'를, 'nami'는 '파도'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산리쿠 연안에서 1896년 6월에 발생한 쓰나미의 피해가 알려지면서 세계 공통어로 사용되게 되었다고 합니다. 바다에 지진이나 해저 화산 폭발 등이 발생하면 파장이 긴 파도가 일어나는데요. 지진에 의해 바다 바닥이 솟아오르고 가라앉으면서 바닷물이 급상승 또는 하강하는 현상을 지진 해일이라고 합니다. 쓰나미파가 빠른 속도로 퍼져 해안가에 도달하면 큰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합니다. 먼바다에서 쓰나미의 파고는 해면에서 수십 센티미터 이하입니다. "그러나 얕은 물에서는 파도 높이가 급격히 높아지고, 수심이 6,000m 이상인 곳에서는 비행기 속도와 같은 시속 800km로 이동합니다" 해변에 가까워지면 시속 45km에서 60km까지 늦어지고, 파도는 더 강해집니다. 이런 쓰나미가 해안을 덮치면 도시는 물론 우리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파괴력을 보입니다.  쓰나미에 따른 사례 소개


>


이런 엄청난 지진 쓰나미의 피해는 전 세계의 모든 해안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태평양이나 주변 해역에서 발생하는 지진 해일은 우리 나라에도 직접 피해를 줄 수 있는데요. 태평양에서는 이미 수백 번의 쓰나미가 발생하고, 일본과 인도네시아 순으로 그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태평양에서의 지진 해일의 주된 발생 지역은 남미, 캐스캐디아 주변 지역, 알래스카, 알류샨, 태평양 북서부 지역 등이라고 합니다. 필리핀 남부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지역은 플레이트 구조론적으로 복잡한 곳으로, 많은 국지적인 쓰나미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


2005년 기준 미국 고체지구물리 및 쓰나미에 관한 세계정보센터(WDC)의 발표에 따르면 쓰나미로 인한 사망자는 500,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앗아갈지도 모르는 이런 무서운 쓰나미 사례에 대해 여러분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북서부 해상에서 발생한 쓰나미는 쓰나미에 대한 지식 부족과 경보 시스템 미비로 그 피해 정도가 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해안에서 직접 쓰나미가 발생한 적은 없기 때문에 쓰나미의 위험성과 피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리나라에도 일본 연안에서 발생한 쓰나미로 인해 인명피해나 선박, 가옥 등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상당히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983년 5월 일본 아키타 현외 해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7.7의 지진 해일에 의해서 울릉도, 경상 북도 울진, 강원도 동해시 해안에서 높은 파도 높이가 관찰됐으며 이 지진 해일 사망자와 실종 및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1993년 일본의 북해도 서쪽 해상에서 발생한 지진 해일은 발생한 뒤 1시간 30분부터 3시간 동안 10분 주기로 한국 동해안에 몰려들었습니다.  기상청 활용


>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지진해일에 대비하기 위해 기상청은 울릉도에 대형해일파고계와 국립해양조사원 조위관측소를 공동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의 지진해일 통보 발표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모 6.0 이상의 해저 지진이 발생해 우리나라 해안에 쓰나미 파고 0.5~1m 미만의 쓰나미 내습이 예상되면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파고 1m 이상의 쓰나미 내습이 예상되면 쓰나미 경보를 발표합니다.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바다와 관련된 재해 중에서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쓰나미에 대해 파헤쳐 보았다고 합니다.직업상 바다에서 일년 대부분을 보내는 분들도 계십니다.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쓰나미에 피난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거나 간신히 피해 오기도 합니다.모든 사람들이 항상 안전하기를 바랍니다!



>


>


참고 자료 국립 기상 연구소 2010. 그것이 알고싶다 해일강익범 2005. 우리 나라의 해일의 원인 분석과 지진 방재 대책. 한국방재학회 엄대용.2008. 가상 지진 해일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 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엘렌 에베르, 프랑수아 셴드레. 2008. 쓰나미를 예측할 수 있는가. (김성희 옮김) 민음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