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오늘부터 5월 5일까지 기존보다 다소 완화된 형태의 사회적 거리를 두는 것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번 사회적 거리를 두는 것이 일상생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강조하고 밀폐된 장소에서 밀접한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시설에 대해서는 운영을 최대한 자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감염 확산 위험도가 높은 유흥시설, 일부 생활체육시설, 학원, 종교시설 등은 기존 행정명령을 유지하되 그 내용을 운영 중단 권고에서 운영 자제 권고로 조정해 운영할 경우 방역지침 준수명령은 현재와 같이 유지합니다.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4월 20일 0시 현재 누적 확진자 수는 10,674명(해외 유입 1,006명, 내국인 91.7%)으로 이 중 8,114명(76.0%)이 격리 해제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13명이며 격리 해제는 72명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격리 중인 환자는 감소하였습니다. 국내 코로나 19개 관련 사망자는 모두 236명입니다. 격리 해제 후 다시 양성으로 판정된 재양성 사례는 전날보다 2명 늘어난 총 181건입니다.
>
국내 코로나19는 집단발생과 관련된 사례는 약 81.0%를 기록하고 있으며, 기타 조사 및 분류 중인 사례는 약 9.6%이다. 지역별 신규 확인환자는 부산 경기 경북에서 각각 2명, 대구 인천 울산에서 각각 1명씩 발생했으며 검역에서 4명의 확진환자가 양해됐다.부산에서는 연제구 소재 부산의료원 근무 직원 1명과 가족 1명이 확인돼 방역조치 및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경북 예천군에서는 접촉자 조사 과정에서 2명이 추가로 확인됐고 4월 9일부터 37명(안동 3명, 문경 1명 포함)의 확진자가 양해됐다.
>
최근 2주간(4월 6일 0시부터 4월 20일 0시 전까지) 신고된 390명의 전파경로는 해외유입 220명(56.4%), 해외유입관련 31명(7.9%), 병원·요양병원 등 69명(17.7%), 지역집단발병 47명(12.1%), 선행확인자 접촉 7명(1.8%), 신천지 관련 1명(0.3%), 조사중 15명(3.8%) 등으로 되어 있습니다. 어제 신규로 이해된 해외유입환자는 7명이며, 유입국(지역)은 미주 7명이었습니다.
>
한편, 중대본은 4월 20일 0시 현재, 해외 유입 확인자 1,006명에 대한 중간 분석 결과를 제공했습니다.해외유입 확인자는 전체 확인자 10,674명의 9.4%로 1월 20일 중국에서 첫 환자 유입 후 3월부터 해외유입 확인자가 급증했습니다. 초기에는 중국 등 아시아로부터의 환자 유입이 많았지만, 3월에는 유럽 지역, 4월에는 미주 지역으로부터의 환자 유입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
해외유입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3월22일부터 4월4일까지로 14일간 해외유입총수의 61.7%(621명)가 발생했다고 합니다.성별로는 남성이 491명(48.8%), 여성이 515명(51.2%)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대 493명(49.0%), 30대 197명(19.6%), 40대 88명(8.7%), 10대 83명(8.3%), 50대 62명, 60대 48명, 10세 미만 20명, 70대 11명, 80세 이상 4명 순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지역별로는 검역단계에서 확인된 환자가 418명(41.6%), 서울 244명(24.3%)과 경기 151명(15.0%), 인천 41명(4.1%)으로 입국단계와 수도권 확정자가 총 해외유입 확정자의 84.9%(854명)였다. 국적별로는 내국인이 922명(91.7%), 외국인이 84명(8.3%)이었다.해외유입 확인자 중 61명이 지역사회 감염을 일으켰고 총 157명이 해외유입 확인자에서 감염됐다는 것. 가족이 89명(54.4%), 친구·지인 33명(20.6%), 업무 27명(16.9%), 동일 장소 8명(6.3%) 순이라고 한다.해외 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 4월 1일 이후 입국자 중 현재까지 지역사회 감염을 발생시킨 사례는 없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