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면역항암치료제 임상연 정보

면역 항암 치료제 중 대표적인 것은 check point in hibitor입니다. 암세포의 일부는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는 기능이 있으며 이를 차단해 암을 치료하는 약을 말합니다. 피부암 폐암 등 돌연변이를 많이 하는 암에는 뛰어난 효과를 보이나 전립샘암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면역 항암 치료제를 다른 치료와 함께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립샘암에서도 일부 효과를 보이고 있다. 전립선암으로 면역항암치료제는 1) 2차호르몬치료(2) CAR-T면역세포치료(3) 표적항암치료제(PAR Pinhibitor) 등과 병합치료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각별히 뛰어난 치료효과가 있다. 다만 확실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합니다.병합 치료로 면역 항암 치료의 효과를 높이려는 임상 연구는 전립샘암만이 아닙니다. 그런데 문제는 갑자기 너무 많은 임상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환자가 부족해서 진행이 더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 의사들은 임상연구를 선별해서 중요한 임상연구가 지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어쨌든 많은 약이 쏟아져 나오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임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


얼마 전 신약은 암의 유전자 결함을 표적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암 종류보다는 유전자 결함에 따라 그 효과가 결정된다. 따라서 동일한 유전자 결함이 있으면 간암에 효과적인 신약이 전립샘암도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방암에 효과가 있었던 표적 항암 치료제는 동일한 유전자 결함(BRAC1/2)을 가진 전립샘암에서도 효과적입니다. 미국의 한 내과의사는 본인이 백혈병에 걸려 말기가 되었지만 스스로 암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하여 피부암과 같은 유전자 이상이 있음을 이해한 후 백혈병에서는 사용하지 않은 피부암에 사용되는 표적 항암제로 치료를 받아 놀라운 치료효과를 보인 사례도 있습니다. 우리가 전립샘암뿐만 아니라 여러 암에 대한 신약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2018년 8월 10일 선릉탑 비뇨기과 박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