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말에는 해외는 지금
>
K문화, 한식문화에 대한 현지인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져 한국 김치, 뉴질랜드 아시아 시장의 성장과 함께 새로운 수요 창출 기대
>
상품명 : 김치 hHS Code : 2005.99 김치를 포함한 2005 HSCode 카테고리는 조제 또는 보존 처리한 채소류(식초나 초산으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냉동하지 않은 것에 한정)로 분류된다. 김치는 2005 하위분류인(Other kinds) 2005.99에 해당하며 해당 코드에 수입되는 제품은 김치처럼 발효된 채소나 절임입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식품수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19년 뉴질랜드에 92.7만 미국 달러(317톤)의 김치를 수출했으며, 이는 전체 89개 수출국 중 11위, 서구권에서는 6위 규모입니다" 한국김치 수출통계(2019.5. 기준연누계)
>
현지 시장동향에 따라 뉴질랜드 교민 수는 세계 14위(외교부 2019 재외동포 현황, 3만 8천명)로 현지 한식당과 슈퍼마켓을 기준으로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고 한다. 김치는 이곳 뉴질랜드에서도 한국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유럽인들과 현지 원주민인 마오리인들에게 건강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 제품을 전문적으로 유통하지 않는 아시안 마켓에서도 김치를 볼 수 있으며, 현지 대형 슈퍼마켓 체인인 팩엔세이브(PAK'Nsave)에서도 한국에서 수입된 김치를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이러한 김치에 대한 현지인들의 인식은 단순히 한국 김치에 대한 호기심을 넘어 본인이 직접 현지화한 김치를 제조 판매하기도 하는데요. 웰빙굿니스(Living Goodness)는 현지에서 생산된 채소와 매운 고추소스와 한국의 전통김치 발효방식을 접목한 퓨전 탈렌트일 김치를 판매한다고 한다. 현지 대형 슈퍼마켓 체인인 카운트다운과 유기농 식품 판매점인 허클베리(Huckleberry)에서도 뉴질랜드에서 만든 김치가 판매되고 있으며 현지 심장질환예방협회 홈페이지에는 건강식품으로 김치와 그 제조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현지 식품유통사와 웰빙푸드 트렌드를 소개하는 홈페이지에서는 현지화된 김치를 담그는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현지인들이 제조하고 유통하는 김치
>
현지인들이 접한 김치 담그는 방법 자료 : (왼쪽) 뉴월드 슈퍼마켓 홈페이지, (오른쪽) VIVANZ 홈페이지 담근 채소류에 대한 수입 규모 및 동향에 따라 2019년 뉴질랜드로 수입되는 장아찌는 920만달러로 한국 김치를 포함해 피클과 각국의 전통 조리법이 반영된 제품이 꾸준히 수입되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2019년 호주에서 180만 미국 달러(2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장아찌가 뉴질랜드로 들어왔으며, 중국이 155만 미국 달러(17%)로 2위 수출국입니다. 올해 국내 수입규모는 155만 달러로 절임채소 수입의 14%를 차지하며, 2018년 121만 미국 달러 대비 9.2% 증가한 할인된 가격으로 최근 3년간 평균 125만 미국 달러 규모의 수입량을 유지하고 있다. 조제 또는 보존처리한 채소류 수입동향(단위: 미화) 자료 : 글로벌 트레이드 아틀라스 (Global Trade Atlas, 2020.06.23)
주로 뉴질랜드 한인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김치는 대상 종가, CJ비비고, 농업회사법인 일품 김치 브랜드 등으로 배추김치, 종각김치, 깍두기 등 다양한 김치가 판매되고 있다. "또한 한식당을 중심으로도 김치 수요가 많아 카카오톡, 연락 등을 활용해 현지 교민에게 직접 김치를 제조, 판매하는 교민 업체도 있습니다"김치는 현지 한인 슈퍼마켓을 통해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현지 대형 슈퍼마켓 중 팩엔세이브(PAK'Nsave)가 한국산 김치를 취급하고 있으며 뉴월드(New World) 슈퍼마켓과 카운트다운(Countdown) 슈퍼마켓 체인에서는 현지에서 제조된 퓨전김치(유리병 포장)가 유통되고 있다. 국내 식품유통업체들이 대부분 오클랜드에 위치해 있어 지방 소비자들의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지만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전화주문과 배송량이 증가하면서 뉴질랜드 전역에 김치를 배송하는 업체들도 생겨나고 있다. 특히 수출 과정에서의 변질 방지와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통조림 김치를 진열한 슈퍼마켓이 눈에 띄게 늘었다. 유통점에서 판매되는 김치제품
>
자료:오클랜드무역관자료(위:현지슈퍼마켓팩엔세이브,아래:한국인슈퍼마켓)현지한인마트에서판매되는김치
>
자료 : 한인 슈퍼마켓의 문자 스토어 관세율 및 수입 규제에서는 HS Code 2005.99는 5%의 일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한국산의 경우 한뉴 FTA로 인한 관세 혜택으로 무관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로 식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수입업자는 뉴질랜드 1차 산업성(Ministry for Primary Industry)에 등록되어야 하며 IHS(Import Health Standards) 표준에 부합하는 식품의 성분분석, 라벨링 요건, 오염물질 및 위해물질 기준 등을 준수해야 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9년 뉴질랜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대표 음식으로 김치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만 매운 맛은 현지 소비자들에게는 아직 생소하다며 많은 서양인들이 매운맛을 일종의 아픔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지 한국식품유통업체의 영업이사는 동양권 이민자가 늘고 장아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시장을 찾는 중국인 수도 늘고 있다. 또 현지인들의 입맛에도 큰 부담이 없는 김치볶음밥과 김치전 등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가 전달을 통해 소개돼 K푸드에 관심이 많은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김치 소비에 대한 수요도 기대한다고 밝혔다.현지 진출 시 참고사항은 식품수출의 경우 라벨 필수표기 규정을 준수하지 않아 통관뿐 아니라 제품 유통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식품라벨은 반드시 영어로 표기하고 제1차 산업부가 권고하는 라벨 필수표기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뉴질랜드 1차 산업성 식품 라벨링 가이드관련 링크
>
해당 내용은 KOTRA 해외시장 뉴스에서 발췌했다고 합니다. 저작권자 https://bit.ly/31XxqXN KOTRA & KOTRA 해외시장 뉴스 원본 링크 : https://bit.ly/31XxqXN 자료 : 뉴질랜드 1차 산업부, 현지 유통사 홈페이지, 글로벌 트레이드 아틀라스 수출입 통계, 오클랜드 무역관